본문 바로가기

수의학20

캄필로박터증(Campylobacteriosis)에 대해 알아보자 캄필로박터증은 캄필로박터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캄필로박터균은 약 20여가지가 있는데 어떤 균은 사람에서 식중독을, 또 어떤 균은 동물에서 불임증, 유산 등을 일으킨다. 이처럼 균의 종류에 따라 병원성의 양상이 다르다. 밑에서 차근차근 알아보겠다! 캄필로박터증(Campylobacteriosis)의 병원체 캄필로박터증의 원인균은 C. jejuni, C. coli, C. fetus 등 20여가지가 있다. 그람 음성 간균이며, 운동성 균이다. 각종 동물의 장 내에서 상재균으로 존재하며, C. jejuni와 C. coli는 동물에서 병원성이 없다. 캄필로박터증의 감염경로 및 증상 먼저 동물에서 감염 및 증상을 알아보겠다. 캄필로박터증은 각종 동물에 모두 감염 가능하다. 그 중 가장 흔한 숙주는.. 2020. 4. 20.
방선균증(Actinomycosis)에 대해서 알아보자 방선균은 방선균류(방선균목, Actinomycetales)에 속하는 균이다. 방선균은 종류가 엄청 다양하고 여러 종이 아직 미분류로 남아있다. 그 이유는 종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아서이다. 세균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그람염색법이 있는데, 방선균이 대부분 그람양성균이지만 일부 방선균종은 복합세포막을 가지고 있어서 그람염색법이 적용이 안되기 때문이다. 방선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토양에 존재하는 방사선균만을 말하기도 한다. 방선균종의 하위로 Actinomyces, Mycobacterium, Nocardia, Streptomyces 가 존재한다. 이중 병원성을 띄는 것은 Streptomyces 를 제외한 Actinomyces, Mycobacterium, Nocardia 이다. .. 2020. 4. 18.
살모넬라증(Salmonellosis)의 증상 및 치료를 알아보자! 살모넬라증(Salmonellosis)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 중 발병률 1위이다. 그만큼 살모넬라 균은 우리 주변에서 다양하게 많이 상재하는 균이다. 주로 오염된 동물성 식품(고기, 생선, 계란 노른자 등)에 의해 유발된다. 따라서 기온이 높은 여름철 유통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한다. 살모넬라증의 병원체 살모넬라증은 2000가지가 넘는 혈청형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원인균은 Salmonella typhimurium과 S. enteritidis 이다. 그람음성간균이며, 운동성균이며 조건혐기성균이다. 살모넬라균은 일반적으로 장관 내에 상재하며, 식품 및 자연환경에도 널리 분포하고 있다. +) 호기성, 혐기성, 조건혐기성균에 대해 정리한 글은 이전포스팅에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리스테리아균에 .. 2020. 4. 14.
세균성 이질(Shigellosis) 감염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세균성 이질(Shigellosis, Bacillary Dysentery)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세균성 이질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사람과 원숭이에서만 발병한다. 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는 아메바성 이질과 증상이 유사하기때문에,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세균성 이질의 병원체 세균성 이질의 원인균은 Shigella dysenteriae, S. flexneri, S. boydii 등의 40개 혈청형이 있다. 그람 음성 간균이며, 비운동성균이다. 세균성 이질균은 exotoxin (neurotoxin, enterotoxin, cytotoxin)에 의해 임상증상을 유발한다. 장 상피세포의 탈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질균은 대표적인 수인성 병원체로, 해수 등의 환경에 저항성을 가지며, 계절과.. 2020. 4. 12.
브루셀라증(Brucellosis) 감염 및 증상, 치료법까지! 오늘 포스팅은 브루셀라증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브루셀라증은 파상열(Undulant fever), 말타열(Malta fever) 이라고도 부르는 세균성 질병이다. 우리나라 수의직 업무 분야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브루셀라증의 병원체 브루셀라증의 원인균은 여러 종류가 있다. Brucella abortus, B. canis, B. melitensis, B. suis 등이 있다. 그람음성간균이며, 비운동성균이다. 주로 감염된 동물의 생식기 및 세망내피계 조직(림프절)에서 증식한다. 또한 숙주세포 내에 증식할 수 있는 intracellular pathogen이다. 브루셀라균은 모든 biotype에 대해 숙주 교차적응성이 있다. 브루셀라증의 감염 및 증상 먼저 동물에서 감염 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자.. 2020. 4. 11.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감염 및 증상,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오늘은 봄, 가을철에 유행하는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렙토스피라증은 인수공통감염병으로 개 고양이를 포함한 동물과 사람에게도 감염할 수 있는 세균성 질병이다. 반려동물 쪽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DHPPL에 대해서 알고있거나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DHPPL은 강아지에서 대표적 전염병 5가지에 대한 종합백신으로 각 알파벳이 질병의 앞글자를 의미한다. Distemper(홍역) Infectious Hepatitis(전염성 간염) Parvovirus(파보 바이러스) Parainfluenza(파라인플루엔자) Leptospirosis(렙토스피라증) 그만큼 렙토스피라증은 반려동물 대부분 종합백신을 통해 면역력을 갖고 있고, 케이스가 적은 것이 현실이다. 허나 사람에서는 농부병.. 2020. 4. 10.